|

광주시회 엄\하영(전\남대학교\대학\원 분자\의과학협\동과정) 회\원은 지난 9월 14일 SCI(Science Citation Index) 논문\에 등재됐\다. SCI 논문\은 다른 연구\에 인용될 정\도로 수준\높은 연구\자료를 모아놓\은 논문\으로 이 논문\에 등재됐\다는 것은 엄 회\원의 논문\이 우수\하고 가치있\는 논문\으로 인정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 혈구 및 백혈병 세포주\에서 벤젠 노출의
생체 표지\자로서 사립체 유\전체 및 단백체 변이
엄 하 영
(지도교\수 : 이재혁)
대\표적\인 환경적 공기 오염 물질인 벤젠과 이의 대\사산물은 다양\한 혈\액학적 질환\의 발생과 관련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상 혈구나 백혈병 세포주\에서 벤젠 자체의 생체 표지\자 발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벤젠 자체 노출이 사립체 기능을 저\하시\킨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 혈구 및 백혈병 세포주\에서 벤젠 노출에 영\향을 받는 사립체 유\전체 및 단백체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정\상 혈구 및 골수 세포, 백혈병 세포주 (K562, THP-1, MOLT-4 및 HL-60)의 배양은 RPMI1640 배지에\서 벤젠을 0, 1, 10mM 농\도로 처리하였\다. 벤젠을 농\도 별로 처리한 백혈병 세포주 및 정\상 혈구 검체의 세포 생존능과 세포 자멸사는 tryphan blue dye exclusion test와 Annexin Ⅴ를 이용해 유\세포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내의 활\성산소 (H2O2)의 측정은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에 반응\시킨 후 유\세포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사립체 양 (mitochondrial mass)와 세포막 잠\재능, 사립체 유\전체의 copy number는 각각 MitoTracker Green, Red probe 그리고 실시간 핵산 증폭 장치를 이용하\였다. 사립체 풍부 세포질 단백\은2-DE와 MALDI-TOF/TOF 분석\을 통하\여 벤젠 노출에 대\한 단백 표지\자를 발굴하였\다. 백혈병 세포주 및 정\상 혈구 세포의 벤젠 노출에 따른 세포 수\의 변화\는 벤젠 처리 후 3일 까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이후3주까지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리고 벤젠 처리 2주 후부\터 4개의 백혈병 세포주\에서 세포 생존능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세포 자멸사는 농\도 의존적\인 증가를 보였다. 또\한 사립체 양과 세포막 잠\재능은 벤젠 처리 3주 후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세포내 활\성산소 (H2O2) 측정치는 벤젠을 2주 처리한 군 (4.4± 1.9 μM/mg protein) 이 벤젠을 처리하지 않\은 군 (1.2±1.0; P=0.001)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사립체 유\전체의 copy number또\한 벤젠 처리 후\에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벤젠 노출 후 2-DE와 mass spectrometry (MALDI-TOF/TOF technology)를 통해10개의 단백체가 현\저한 증가와 감소를 보였고 그 중 벤젠 처리 후 뚜\렷한 감소를 보인 heterogeneous nuclear ribonucleoprotein A2/B1 isoform B1 (hnRNP A2/B1)을 발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벤젠 자체 노출 표지\자로 사립체 양 증가 및 사립체 유\전체 copy number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hnRNP A2/B1 생체 표지\자를 발굴하였\다.
Key words: 정\상 혈구, 백혈병 세포주, 벤젠, 생체 표지\자, 사립체, 단백질
내력
- 2004. 04 ~ 2011. 현\재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근무
2009. 03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의과학협\동과정(석\사과정 입\학)
2011. 02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의과학협\동과정(석\사과정) 졸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