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닫기
  • HOME
  • 협회소식
  • 협회뉴스

협회뉴스

병리협보 상세입니다.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과학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선정 2015-01-06

그 과정과 앞으로의 과제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가 2014년도 학술지 평가를 통해 총점 83.25점으로 등재후보지에 선정되었다.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는 지금까지 많은 변화를 겪었지만, 협회와 그 역사를 함께해 왔다. 1967년부터 1994년까지는 대한임상병리士회지, 1995년부터 2003년까지는 대한임상병리검사과학회지, 2004년부터 2013년까지는 대한임상검사학회」이라는 이름으로 회원들의 학술 및 연구결과의 집약체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리고 2014년부터는 「대한임상검사科학회지」로 정식명칭을 수정하고 대한임상검사과학회를 통해 관리, 운영, 발행되고 있다.

 

학술지는 전문성과 사회성을 대외적으로 나타내고 대내적으로는 회원들 간의 성과 공유와 앞으로의 연구방향 등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함으로써 소속 조직 내 인사평가 과정에서 가산점을 받기도 한다. 이외에도 학술지 및 학술대회 운영에 있어, 정부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 같은 이유로 협회는 학술지 운영과 관련하여 가장 첫 번째 목표로 한국연구재단 KCI 등재를 설정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서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과학재단,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으로 구성되어있다. 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은 국내 학술지 정보, 논문 정보(원문) 및 참고문헌, 저자정보, 인용정보, 통계정보, 학술지정보, 학회정보를 DB화하여 논문 간 인용관계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학술지는 미등재지, KCI 등재후보지, KCI 등재지, 등재지 중 10% 내외에서 지정된 KCI 우수등재지로 구성되어있다. 평가제도는 매년 실시되는 KCI 등재후보지를 위한 신규평가, 매년 등재후보지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KCI 등재지를 위한 계속평가, 3년마다 실시되는 KCI 등재지 유지를 위한 재인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2014년 학술지 평가의 신청자격에서 발행의 규칙성 및 정시성, 논문당 심사위원수, 연구윤리, 논문명 및 저자명의 외국어화, 논문 투고 다양성, 한국 학술지 인용색인 등록의 기준에 합격했다. 이후 접근성, 발간횟수, 게재율 등을 평가하는 체계평가에서 30점 만점에 26, 학술적 가치와 성과, 전문성, 질적 수준 등을 평가하는 내용평가에서 60점 만점에 48.5, 학문분야, 발행기관 및 학술지의 특수성을 평가하는 학문분야 특수평가에서 10점만점에 8.75점을 받아, 83.25점으로 등재후보에 선정되었다.

 

학술지 등재가 타 직역과 비교해서 늦어진 만큼, 협회의 역량을 집약하여 학술지 등재사업 활성화를 계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학술지의 질 관리를 위해서 총 3개의 과제를 선정하며, 이와 별도로 최우선 과제로 회원들의 참여 활성화를 선정했다. 특히 대한임상검사과학회 회원 가입 회원이 현재 30명인 점이 지적되며, 추후 보수교육과 학술대회 운영 시 홍보와 참여를 유도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되었다. 이외에도 실무진이 절대적으로 다수이기 때문에 논문 실적인 필수적이지 않아, 논문 게재율이 저조한 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한시적인 논문 장려금 등의 프로그램이 제안되었다.

 

<학술지 질 관리를 위한 3가지 과제>

첫째, 논문의 질을 높이기. 국내 영어논문 독려 및 해외유관단체와의 교류를 바탕으로 외국 영어논문 유치, 논문 탈락 비율 올리기, 인용지수 올리기, 분야별 편집(심사)위원회 강화, 초록 교정, 논문 심사, 참고문헌 검증 강화.

 

둘째, 편집, 심사, 연구윤리 강화. 질병본부관리 IRB 온라인 교육 이수, 연구재단 학술지 워크숍 참가, 과기총 학술지 원고편집인 교육과정 참가, 편집, 심사, 연구윤리 워크숍, 관련 교수진 학술진흥 워크숍, 객원심사위원 위촉.

 

셋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재를 대비하여 투고규정 정비 및 학술대회 자료집 PDF 작업화 진행.

 

<대한임상검사과학회 홈페이지 가입방법 안내>

일반회원: www.kscls.or.kr 접속-학회 회원가입 클릭

저자회원: www.kjcls.org 접속-KJCLS e-Submission 클릭-Create an Account 클릭